튜체프 시선
Description:... 본 책에서 소개하는 튜체프 역시 한국의 독자들에게는 매우 생소한 러시아 시인이다. 하지만 튜체프는 러시아와 그 영혼을 노래한 주옥같은 작품을 쓴 기라성 같은 러시아 시인의 한 사람이다. 한국의 독자들에게 알려진 푸시킨과 동시대 사람으로서 푸시킨에 버금갈 정도로 러시아인들 사이에서 자주 회자되고 읽히는 시인으로 러시아 낭만주의 시기를 풍미했던 대표적 시인이다. 1820년대와 1830년대에 튜체프는 많은 시들을 썼다. 그중 <침묵(Silentium)>(1830), <당신이 상상하는 것은 자연이 아니다(Не то, что мните вы, природа)>(1836), <밤바람이여, 무엇을 울부짖는가?(О чем ты воешь, ветр ночной?)>(1836) 등이 그의 대표적인 시들로 꼽힌다. 튜체프의 시에서 자연은 가장 중요한 소재이며, 자연과 인간에 대한 명상과 성찰이 튜체프 시의 핵심적인 테마다. 그의 시에서 자연은 하나의 살아 있는 유기체로서 인간적 현존의 상징으로 등장한다. 일명 자연시로 불리는 튜체프의 시는 자연에 대한 세밀한 묘사와 철학적이고 상징적인 이미지들을 보여 주고 있으며, 이러한 가운데 인간의 존재론적 문제들을 심도 있게 다루고 있다.
많은 비평가들은 튜체프의 시를 ‘철학시’라고 평가하기도 한다. 그 대표적인 시로 <환상(Видение)>(1829), <대양이 지구를 감싸듯…(Как океан объемлет шар земной…)>(1830), <낮과 밤(День и ночь)>(1839) 등이 있다. 이와 같은 시들의 핵심 주제는 계몽주의 사상이 천명하는 이성에 대한 절대적 숭배를 거부하는 것이다. 이 시들에서 튜체프는 이성을 인식 영역의 원동력이라고 인정하지 않으며, ‘차가운 이성’을 감성의 우위에 두지 않는 자신의 철학적 태도를 표출한다. 달리 말하면 이성에 의한 논리와 합리에 기초한 인간의 인식적 능력보다 ‘직관’에 의한 인식적 능력을 더욱 중요시하고 있다. 직관에 대한 튜체프의 철학적 관점은 시에서 ‘무의식’이나 ‘꿈’이라는 모티브를 통해 형상화되고 있다.
튜체프의 시는 자연시 혹은 철학시라는 특징 이외에 한 여인에 대한 사랑을 노래한 시로도 유명하다. 그 사랑의 시들은 ≪데니시예바 선집≫이라는 계열적인 시로 독립해 구분되기도 한다. 이 선집의 시들은 데니시예바(E. Денисьева)와의 사랑이 준 희열과 고통, 그리고 그녀의 죽음으로 인한 튜체프의 죄의식을 주요 화두로 삼고 있다. 사랑을 ‘운명적인 결합이며 운명적인 투쟁’이라고 정의하고 있는 튜체프의 사랑에 관한 시들은 현재까지 사랑을 노래한 러시아시의 정수로 꼽히고 있다.
튜체프 자신은 스스로를 탁월한 시인으로 인정하기를 꺼렸지만, 그는 당대의 시인들뿐만 아니라 20세기 초 러시아 문학의 은세기에 시문학을 주도했던 상징주의 시인들의 스승이자 우상이기도 했다. 상징주의 시인들은 자연을 소재로 한 튜체프의 시에 나타난 철학적 상징들과 이미지를 높이 평가했으며, 그의 시 세계를 탐독하고 답습하고자 했다. 상징주의자들에게 튜체프는 누구도 모방할 수 없는 위대한 시인이며, 철학자이자 예언자였다.
현대에도 튜체프의 시는 러시아 시를 아는 첫걸음이 되고 있으며, 모국어를 배우기 시작하는 러시아의 어린아이들이 처음으로 접하는 러시아 시인 중의 한 명이다. 물론 러시아 문학 교육과정에서 필수적으로 다루어지는 러시아 작가의 한 사람이기도 하다.
번역에 사용된 원문은 러시아 과학아카데미 산하 나우카(Nauka) 출판사에서 1966년 출판된 ≪튜체프 시 전집≫이다. 본 번역문에 실린 82편의 시들은 19세기 러시아 시를 통합하는 다양한 시 선집에 포함된 시들을 우선적으로 선정하는 기준에 의해 선택된 것이다. 원문으로 읽어야만 음미할 수 있는 러시아 시의 운율이나 압운을 전달할 수 없는 안타까움을 조금이라도 보상하고자, 시가 전하는 철학적 내용이나 의미들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것에 초점을 맞추어 번역했음을 밝혀 둔다.
Show descrip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