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허당집
Description:... 청허당 휴정은 조선이 배출한 최고의 승려다. 그가 살았던 시대는 조선 건국 이래 처음 맞이하는 전란의 시대였다. 수도가 유린되고, 임금이 중국으로 망명을 가느냐 마느냐 하는 처지였다. 그 속에서 이 땅의 백성은 왜적의 발굽 아래 철저하게 유린되었다. 또한 휴정은 억불(抑佛)의 시대를 살았다. 유교를 국시(國是)로 삼아 그 외의 종교는 배척되었다. 당시의 승려는 유가 문사들에게 이른바 공공의 적이었다. 그들은 국가정책의 방향을 억불에 맞추어 나갔다. 승려는 사회적 신분이 저하되고, 그것은 승려 집단의 질적 저하로 이어졌다. 산사 불교 시대가 도래하면서 승단(僧團)이 받은 질적 양적 타격은 엄청났다. 이 모든 악조건 속에서 휴정은 조선조 불교를 부흥시켰다. 산중 승가의 풍토를 바꾸어 놓은 중흥조(中興祖)였다. 그의 문하에서 배출된 수많은 불제자들은 한국 불교를 지탱한 기둥이었다. 휴정은 제자들을 그들의 깜냥에 맞게 길러 냈다. 유정(惟政)은 실질적인 법의 계승자였지만 당시 나라가 처한 급박한 상황 속에서 승병장 생활을 통해 불교계의 바람막이 역할을 수행했다. 반면 일선(一禪)은 청정 구도의 전형을 보여 주었다. 그는 지리산에 은거하며 평생을 참선과 염불로 일관했다. 출가승의 본분을 온몸으로 보여 주었다. 태능(太能)은 유정이 떠난 교단을 수호하며 교단 정비에 나섰다. 휴정은 종파가 사라진 뒤 교리적인 면에서 그 맥을 이은 분이다. 1424년 세종(世宗)은 기존 한국 불교의 종파를 선교(禪敎) 양종(兩宗)으로 인위적으로 묶음으로써 불교계를 견제했다. 즉, 조계종·천태종·총남종을 합쳐서 선종이라 하고, 화엄종·자은종·중신종·시흥종을 합쳐서 교종이라 했다. 그리고 이마저도 1565년(명종 20)에 오면 아예 종 자체가 사라졌다. 각 종들은 나름대로 교의적 특징을 가지고 있었다. 그 특징이 사회적 위축과 함께 사라져 갔다. 각 종파의 종지가 서지 않고서는 교단이 정상적으로 운영될 리가 만무했다. 한국 불교 사상사에서 휴정의 주된 업적은 바로 이 흩어져 사라질 위기에 놓인 종지를 일신(一新)해서 정리했다는 점이다. 휴정의 사상은 조사선(祖師禪) 중심의 선교일치론(禪敎一致論)과 염불 정토관(淨土觀)의 강조라는 두 가지로 요약된다.
현존하는 서산대사의 비문과 ≪동사열전(東師列傳)≫에는 모두 ≪청허당집(淸虛堂集)≫을 8권이라고 했다. 그러나 실제 현행본 ≪청허당집≫에는 2권본·4권본·7권본만이 있다. 7권본은 현재 숭정 3년(崇禎三年) 경오(庚午, 1630) 경기도 삭녕(朔寧) 용복사(龍腹寺) 간본이 남아 전하며, 4권본은 간년을 알 수 없는 묘향장판(妙香藏板)이 전해지고, 2권본은 강희(康熙) 5년 병오(丙午, 1666) 동리산 태안사(泰安寺) 개판 및 간년을 알 수 없는 몇 가지가 현존하고 있다. 각 판본들은 내용적으로 볼 때 부분적인 첨삭이 있어 혼란을 줄 여지가 있다. 하지만 이 책은 종합본적인 성격을 가지고 있는 7권본을 대본으로 삼아 그 혼란을 최소화하고자 했다.
≪청허당집≫은 한국 불교의 큰 획을 그은 청허휴정의 문집이다. 승속을 넘어 많은 이에게 읽힘으로써 청허대사의 정신이 우리의 삶 속에 계승되는 데 일말의 도움이라도 된다면 이 책은 깊은 의미가 있다고 하겠다.
Show descrip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