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포유고
Description:... 지만지한국문학의 <지역 고전학 총서>는 서울 지역의 주요 문인에 가려 소외되었던 빛나는 지역 학자의 고전을 발굴 번역합니다. ‘중심’과 ‘주변’이라는 권력에서 벗어나 모든 지역의 문화 자산이 동등한 대우를 받을 수 있도록 합니다. 지역 학문 발전에 이바지한 지역 지식인들의 치열한 삶과 그 성과를 통해 새로운 지식 지도를 만들어 나갑니다.
요절한 천재 시인, 자취를 드러내다
현재 최전의 문집 ≪양포유고≫는 규장각 소장의 목판본과 국립중앙도서관 소장의 석판본 2종만이 남아 있는데, 본서의 저본은 국립중앙도서관장본이다. 권수에 이정귀가 지은 서문과 신흠이 지은 서(敍)가 있다. 최전의 시문으로는 먼저 매형 오운에 대한 제문(祭文) 1편과 습유(拾遺)에 실린 42제를 포함한 시(詩) 총 104제, ≪주역≫을 읽고 서술한 <독역잡설(讀易雜說)>이 있고, 아들 최유해가 지은 지(志)와 이항복이 지은 묘갈명 1편, 이정귀·신흠 등이 고인이 된 최전을 애도한 만사 6편과 양포의 옛 집을 지나며 한준겸이 쓴 <양포의 옛집을 지나다(過楊浦舊居)>, 양포가 일찍 죽어 시문이 많이 남아 있지 않음을 안타까워하며 권필이 지은 <석주의 편지(石洲書)>가 있으며, 그 뒤로 임숙영이 지은 행장이 실려 있다. 권말에는 김장생이 지은 발문이 있다. 작품의 수가 그리 많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현재까지 그의 문집에 대한 완역 작업은 이루어지지 않았다. 요절한 시인에 대한 연구의 특성상 여러 한계가 분명 있을 것이고, 그러한 탓에 아마 이제껏 누구도 선뜻 이 작업에 나서고자 하지 않았을 것이다. 하지만 최전이 세상에 남긴 100여 편의 시들을 한번 찬찬히 읽어 보면 그의 문학적 가치를 재평가하지 않을 수 없을 것이다.
최전은 시문뿐만이 아니라 글씨와 그림, 그리고 음악까지 다방면에서 특출한 재능을 보였는데 그중에서도 특히 시는 당대 문인들이 두루 외우며 높이 평가했다. 그의 사후에 아들 유해가 부친의 유고를 중국 관리에게 보여 줌으로써 문집이 중국에서 간행되었고, 청대 문인 주이준(朱?尊)이 그의 시를 선별해 ≪명시종(明詩綜)≫에 수록하기도 했을 정도였다. 임숙영이 쓴 <양포 최 공 행장>이나, 월사 이정귀가 쓴 <양포유고 서> 등을 살펴보면, 양포는 성당(盛唐)의 시를 전범으로 시를 썼으며 청월하고 준일한 그의 시풍은 이백에 비견할 만큼 높은 수준에 올라 있었음을 알 수 있다.
Show descrip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