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역사. 13 신학문의 등장
Description:... 《이야기 한국사》로 100만 독자를 사로잡은 이현희 교수의 필생의 역작! 우리나라의 유구한 역사는 우리 조상들이 열심히 살아온 발자취로서 그것은 오늘날 우리 생활로 이어져 왔고 앞으로도 힘차게 전개되어 갈 것이다. 그렇기에 우리가 우리의 역사를 정확히 이해하고 주체적으로 터득하는 것은 그것을 토대로 내일의 나아갈 바를 설계하고자 함이다. 수많은 외침을 극복하면서 우리 민족이 이처럼 오랜 역사와 문화를 발전시켜 올 수 있었던 원동력은 무엇일까? 오랜 세월동안 도전과 응전 속에서 새롭게 다져진 우리의 역사는 주변국과의 관계 속에서 독자성을 띠며 성장해 왔다. 평화교류를 하고 우수한 문화를 전파하기도 했으며 때로는 위기에 처하여 온 국민이 혼신의 힘을 바쳐 내 조국 내 겨레를 지켜내는데 총화단결의 의지를 보여 극복해 나가기도 하였다. 강인함으로 우리 역사와 문화를 창조하고 계승해 왔다는 점을 흘러온 역사를 통해 이해할 수 있으며 그 원동력은 곧 우리 선조들의 슬기이자 용맹이며 올바른 가치관의 실현이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우리나라 반만년의 역사는 선조들의 피땀 어린 조국수호와 발전이라는 의지의 결과물이며 창조와 저항의 눈부신 기록인 것이다. 우리는 그것을 잊지 말고 더 나은 내일에 적용시켜야 할 것이다. 《한국의 역사》 시리즈 13권에서는 새로운 학문이 등장한 조선의 시대 상황과 그에 대응하는 대립파 등 개혁과 개방의 싹이 텄던 영조·정조 시대를 다룬다. 조선의 마지막 황금기라 불리는 정조 시대. 이 시기에는 실학, 북학, 서학 등이 새롭게 대두되었으며 서양 학문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졌다. 그러나 정조는 새로운 학문의 진작이 아닌 성리학에 기반을 둔 옛 사상의 부흥을 이루고자 했다. 이에 성리학의 이념을 위협하는 천주교를 탄압했으며, 이는 당파 싸움의 도구로 이용되기도 했다.
Show descrip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