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컬처 비평
Description:... 서브컬처 비평에 대한 비평서
비평 활성화를 통해 문화 발전 견인 제안
무협소설·라이트노벨·판타지소설(소설), B급영화, 힙스터·히피·펑크(음악)…, 이들의 공통점은 주류문화에 비교해 비주류문화 혹은 서브컬처라고 부르는 것들이라는 점이다. 게임, 만화, 애니메이션 등도 서브컬처에 포함된다.
최근 들어서 서브컬처는 더 이상 낯선 것이 아니다. 한 지상파방송에서는 “당신의 잠자고 있는 덕심(心)을 일깨워 새로운 ‘덕후문화’를 만드는 취향 존중 프로그램”을 자처하는 프로그램을 제작, 덕후를 ‘능력자들’이라 칭하며 제목으로 삼기도 했다. 모든 서브컬처 향유자가 덕후(오타쿠)는 아니지만 한때 부정적인 시각으로 보던 덕후를 대중문화의 한 갈래로 보았다는 것은 서브컬처의 향유가 더 이상 소수만의 취향이 아니라는 반증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럼에도 아직도 우리사회에는 서브컬처를 부정적으로 보는 시각이 존재한다.
이 책은 이 같은 현상의 원인을 서브컬처 비평의 기능 부전 때문이라고 진단하고 그 이유와, 그럼에도 지속돼야 할 필요성은 무엇이며, 어떻게 지속돼야 할지를 그동안 그것이 그려 온 궤적을 통해 찾아본다. 특히 한국 서브컬처의 등장과 진전 과정에서 가장 두각을 드러냈던 만화(comics), 애니메이션(animation), 게임(digital game)에 대한 비평을 중심으로 논의를 전개한다.
따라서 이 책은 서브컬처 비평에 대한 비평이다. 특히 만화, 애니메이션, 게임 자체가 아닌, 이들을 둘러싼 비평에 주목한다. 책은 크게 네 개 파트, 작게는 열 개의 장으로 구성된다. 첫째 파트는 서브컬처 비평의 목적과 조건, 유형 그리고 최근 서브컬처 비평에 발생하고 있는 변화들을 논의한다. 둘째 파트에서는 한국 서브컬처 비평이 지금까지 그려 온 궤적과 의미, 그 과정에서 누적돼 온 문제점을 밝히고, 셋째 파트에서는 서브컬처 비평의 방향을 정립하고, 비평을 구체적으로 어떻게 해야 할지를 텍스트(text), 수용자, 콘텍스트(context) 차원에서 그려 본다. 마지막으로 넷째 파트에서는 서브컬처 활성화를 위해 향후 비평이 나아갈 방향을 제안한다.
방송, 게임, 만화, 팬덤 등 미디어/문화를 연구하는 저자는 “서브컬처 비평의 활성화가 가치 있는 서브컬처의 발전을 견인할 것”이라며, 서브컬처 비평의 활성화를 위해 개별 비평 주체들, 즉 창작자, 수요자, 정책 입안자, 비평가나 연구자들이 서로 긴밀히 교류하고 협력할 것을 제안한다. 문화의 다양성, 서브컬처 콘텐츠의 산업화 등을 위한 의미 있는 논의를 만날 수 있다.
Show descrip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