슬기로운 뉴스 읽기
Description:... 기자의 눈으로 일일이 뜯어보고 정확하게 분석한 가짜뉴스에 대한 거의 모든 이야기!! 가짜뉴스를 ‘진짜’라고 믿고 있는 할아버지와 만날 때마다 티격태격하는 엄마, 진짜보다 더 진짜 같은 가짜뉴스로 도배된 친구의 유튜브 리스트! 넘쳐나는 가짜들의 홍수 속에서 우리는 과연 진실하고 올바르고 균형 잡힌 기사를 걸러낼 수 있을까? 가짜뉴스는 특히 청소년들에게 치명적인 악영향을 미친다. 한창 생각을 키워가는 청소년들의 머릿속에 그릇된 생각을 심어놓는다. 청소년들은 아직 세상을 이해하는 틀이 단단히 여물지 않은 상태에 있다. 예를 들어 똑같은 허위조작정보를 접했을 때도 시사정보와 뉴스유통에 대한 이해가 어느 정도 있는 성인과 그렇지 않은 청소년의 반응은 다를 수밖에 없다. 성인들은 이미 알고 있는 정보와 지식, 혹은 경험에 비추어 미덥지 않은 것들을 배척하거나 걸러내는 힘이 ‘어느 정도’ 있지만, 몸도 생각도 날마다 성장 중인 청소년의 경우엔 상황이 다르다. 특히 가장 심각한 문제는 잘못된 생각으로 굳어진 인식의 틀을 갖게 되면 성인이 된 뒤에도 잘못된 판단을 반복하게 된다는 점이다. 물론 가짜뉴스가 청소년에게만 영향을 미치는 것은 아니다. 일반인들도 타격을 받는다. 양치기 소년의 반복되는 거짓말로 마을 사람들은 한동안 두려움에 떨어야 했고, 시간과 에너지를 낭비했다. 요즘도 가짜뉴스 때문에 어떤 사람은 시간을, 다른 누군가는 재산을, 또 다른 사람은 인생을 송두리째 날려버리기도 한다. 이 책이 주목하는 또 다른 문제는 대한민국 국민의 언론 신뢰도에 얽힌 상황들이다. 각국의 뉴스 신뢰도를 비교 분석한 자료를 보면(로이터저널리즘연구소의 ‘디지털 뉴스 리포트 2020’), 대한민국의 뉴스 신뢰도가 조사 대상국 중 최하위인 40위라고 나온다. 2020년 기준 한국의 뉴스 신뢰도는 21퍼센트였는데, 이 수치는 나라 사정이 복잡한 멕시코, 홍콩보다도 낮다. 열에 여덟은 언론을 믿지 않는다는 뜻과 다르지 않다. 또 하나의 놀라운 조사 결과가 있다. “유튜브 같은 동영상 플랫폼, 카카오톡 같은 메신저를 언론이라고 생각하는가?” 하는 물음에 응답자 전체의 28.6%가 ‘그렇다’고 답했다는 사실이다. 20대는 39.7%가, 30대는 36.1%가 유튜브 같은 동영상 플랫폼을 언론이라고 생각한다고 응답했고, 카카오톡을 비롯한 메신저 서비스를 언론이라고 생각한다는 답은 24.6%(20대는 34.2%), 페이스북 등 SNS를 언론으로 생각한다는 답은 21.8%(20대는 35.3%)로 집계되었다. 대다수 사람이 어디서 뉴스를 접하고 읽고 소비하는지, 가짜뉴스의 발원지가 어디인지 짐작하게 해주는 부분이다. 이 책의 저자는 현직 신문기자다. 덕분에 적확하고 전문적인 분석이 가능했다. 한동안 논란이 되었던 보도들을 예로 들면서 하나의 기사가 어떤 경로를 거쳐 가짜뉴스로 둔갑하는지, 그것을 만들고 퍼뜨리는 사람은 누구인지, 선량한 일반 시민들은 그것들을 어떻게 읽고 이해하며 판독해야 하는지 꼼꼼하게 짚어준다. 특히 독자의 이해를 돕고자 덧붙임 자료로 제공한 ‘기자의 눈으로 뉴스 뜯어보기’는 매우 실용적이다. 기사의 헤드카피 유형부터 육하원칙에 따른 본문 구성과 용어 다루기 및 기사 끝에 달리는 바이라인에 이르기까지 하나하나 예를 들면서 설명해준다. 따라서 독자들은 이 책을 통해 범람하는 기사들 속에서 진짜와 가짜를 구별해낼 수 있는 지혜와 정보, 기사를 읽을 때 중시해야 할 점, 한눈에 가짜임을 알 수 있는 팁 등을 얻을 수 있다. 청소년을 비롯해 뉴스 읽기에 익숙하지 않은 사람들, 뉴스를 통해 세상을 정확하게 읽어내고, 그 과정에서 균형 잡힌 건강한 시각을 다지고 싶은 모든 이에게 이 책을 권한다. 태초에 가짜뉴스가 있었다 해외에서 가짜뉴스 문제는 2016년 미국 대선부터 본격화했고, 한국에서는 2019년 조국 전 법무부 장관의 자녀 입시 비리 의혹 등을 겪으면서 가짜뉴스가 핵심 이슈로 떠올랐다. 그런데 가짜뉴스는 어느 날 갑자기 나타난 게 아니다. 가짜뉴스의 역사는 생각보다 길고 오래다. 삼국유사에 나오는 서동요(서동이 헛소문을 퍼뜨려서 선화공주를 궁에서 쫓겨나게 했다), 조선 중종 대의 주초위왕 사건(나뭇잎에 꿀을 발라 조광조를 모함한 사건으로, 이때 쓰인 글자 ‘주초走肖’는 조광조의 성을 나타내는 ‘조趙’의 파자破字였다), 관동대지진 시 조선인들이 우물에 독약을 탔다고 음해한 것, 조선의 운명을 결정하는 모스크바 3상 회의에서 소련이 신탁통치를 주장했다고 보도한 동아일보 오보 사건, 가장 가까이로는 5·18광주민주화운동 북한군 개입설 등이 그런 사례다. 지금처럼 ‘가짜뉴스’라는 표현을 쓰지는 않았지만 하나같이 헛소문, 유언비어, 루머 들로서 시대와 지역, 상황에 따라 각기 다른 이름으로 존재했을 뿐, 거짓 정보를 다루었다는 실체는 전혀 다르지 않다. 가짜뉴스의 유형들 가짜뉴스는 개념의 폭이 넓은 만큼 유형도 다양하다. 형식적 측면에서 대개 다음과 같은 형태로 추려볼 수 있다. 먼저 ‘날조 뉴스’가 있다. 근거 없는 거짓 정보를 뉴스 보도의 형식으로 꾸민 것이다. 평범한 사람들은 진위여부를 가리기가 쉽지 않다. ‘풍자와 패러디’는 무대를 뉴스 스튜디오처럼 꾸미고 앵커로 분장한 코미디언이 나와 현실을 풍자한 가짜뉴스를 전달하는 프로그램을 예로 들 수 있다. 평범한 사람들도 단번에 가짜임을 알아볼 수 있다는 특징이 있다. ‘광고성 기사와 협찬 기사’도 가짜뉴스의 한 유형이다. 기자들이 직접 취재하고 확인해서 쓴 기사가 아니라 광고회사들이 제품이나 서비스 홍보를 위해 만든 보도자료를 그대로 언론사의 이름으로 뿌린 기사들이 대부분이다. 이 밖에도 사람들을 선동할 목적으로 쓴 ‘허위조작정보’, 확인되지 않은 이야기인데도 사람들 사이에 파고드는 ‘루머와 풍문’, 사진 합성이나 동영상 조작 형식을 띤 ‘조작된 사진과 동영상’ 등도 모두 가짜뉴스의 범주 안에 속한다. 이러한 다양한 유형의 가짜뉴스는 관련 기술이 발전해나가면서 지금보다 훨씬 더 교묘한 방식으로 진화할 가능성이 크다. 우리는 어떻게 가짜뉴스를 구별할 수 있을까? 뉴스를 읽어내는 능력은 그리 거창한 게 아니다. 뉴스는 우리가 일상적으로 접하는 콘텐츠이기에 매일 뉴스를 읽을 때마다 조금씩만 더 신경을 쓴다면 자연스럽게 문해력도 길러진다. 특히 가짜뉴스를 걸러내는 팁은 이미 많은 언론 관련 기관에서 정리해둔 것들이 있으므로 간단한 원칙만 기억해도 웬만한 가짜에는 넘어가지 않을 수 있다. 이를테면 ‘정보의 출처’ 확인, 기사를 쓴 사람의 정보 검색, 문제라고 생각하는 내용을 다른 언론에서 다뤘는지 찾아보기, 기사에 사용된 사진과 동영상을 언제 어디서 만든 것인지 확인하기, 기사를 읽을 때 왜 나의 마음이 교묘하게 움직이는지 이유를 살펴보기 등이다. 이처럼 정성스런 읽기 연습으로 분별력을 키운다면 가짜뉴스는 물론 SNS, 유튜브 등을 통해 접하는 콘텐츠에 담긴 정보를 어떻게 받아들여야 할지 냉철하게 판단하는 힘도 크게 성장할 것이다.
Show descrip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