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책은 그간 전혀 공개되지 않았던 극비 자료들을 바탕으로, 일제 식민지 치하 언론과 문화활동을 감시·통제하던 총독부의 검열기구와 검열관의 전모를 밝히고 있다. 특히 조선총독부의 관점으로 언론 통제 사건과 해당 자료를 살펴볼 수 있다는 점, 일제 치하 국내외에서 발행된 정기간행물의 기본 정보를 얻을 수 있다는 점, 문학작품, 광고, 만화, 영화 등 방대한 문화 자료의 통제에 관해서도 알 수 있다는 점에서 사료적 가치가 높다.
이 책은 외세의 언론통제를 대상으로 다루었다. 정부기구인 박문국에서 발행한 최초의 신문 『한성순보』에서 시작된 중국의 압력은 서양 열강 세력이 뒤를 이었고, 무력을 앞세운 일본이 언론을 완전 장악하는 러일전쟁 이후와 일제 식민지 치하까지의 기간이 연구대상이다.?
일제 치하의 통제는 총독부가 작성한 방대한 비밀자료가 있었으나 아직 이를 종합하고 분석하는 작업을 한 사람은 없었다. 35년의 식민치하에 여러 기관이 작성한 문서가 워낙 방대할 뿐 아니라, 한 곳에 모여 있지 않고 정부기관이 소장한 문서가 대부분이지만 개인이 소장한 것도 있고, 일본에서 구해야 하는 경우도 있어서 애로가 많았던 것이다.
저자는 이 책에서 다음의 문제를 살펴보고 있다..
첫째, 일본은 어떤 방법으로 언론을 통제하고 탄압하였는가.?
둘째, 검열과 탄압을 담당한 총독부 경무국 고등경찰과와 도서과는 어떤 조직이었는가.?
셋째, 검열을 담당하던 구성원은 어떤 사람들이었는가.?
넷째, 어느 신문의 기사가 몇 건이나 압수당했는가.?
다섯째, 정간, 폐간, 언론인의 사법처분은 얼마나 있었는가.
이 책의 내용은 다음 세 가지 측면에서 그 중요성을 말할 수 있다.
첫째, 일제 치하 국내외에서 발행된 정기간행물의 기본 정보(허가일, 발행인, 발행 장소·간격·부수 등)들을 파악할 수 있다.
둘째, 총독부의 관점에서 모든 언론통제 사건과 해당 자료를 살펴볼 수 있다.
셋째, 언론 보도 논평뿐 아니라 문학작품, 광고, 만화, 영화 등 방대한 문화 자료의 통제에 관해서도 알 수 있다.